내용 퍼가지말고 그냥 주소를 링크해서 봅시다.예의가 있지 말야ㅋㅋ 이거 쓰느라 고생했다고.
근 한달만의 포스팅인가 싶다.
사업하느라 이것저것 알아보고 정리하고 테스트하고 하느라 정신없는 날들이 빠르게 흘러갔다.
친구말대로 "넌 너무 갖추고 시작하려니 시간이 오래 걸리는거야." 상태인듯 하다.
뭐 늦어지는건 늦어지는거고 오늘의 토픽은 그래픽카드의 가속문제이다.
사업을 준비하느라 이것저것 하다가 잠깐 짬이나서 영화를 보려고
이것저것 뒤적이다가 본얼티메이텀을 구해서 보려고 하는데 아 잠깐
이 영화 화일 스펙을 좀 보면 이렇다.
화일명: The.Bourne.Ultimatum.mkv
용량: 10.1기가
해상도: 1920x800 24프레임
코덱: 비디오 AVC1, 오디오 DTS
대충 사람들이 알고 있는 1080p 영화화일이다.
비슷한 스펙의 화일을 몇개 더 구했는데
본아이덴티티 tl-tbi.mkv 1920x816 AVC1 DTS
본슈프리머시 tl-tbs.mkv 1920x816 AVC1 DTS
대충 아시겠는가? 본 트릴로지 팩을 받았다.
문제는 본 얼티메이텀을 보려고 실행을 했는데 깜짝 놀랄만큼 시스템이 느려졌단 거다.
완전히 버벅버벅 ㅠㅠ
확인해보니 cpu점유율이 99퍼센트에 이르렀다.
비디오 가속이 전혀 안되는구만 ㅠㅠ
잠깐만 니네 컴이 꾸져서 그런거 아니냐고? 물어볼 사람이 있을거 같아서
사용된 시스템 소개를 잠깐한다.
cpu - 레고르 245 - 듀얼코어 2.9기가
보드 - asus m4a78 em 1333 acc
램 - 삼성 6400 1기가 4개 총4기가
하드 - wd640 + wd1T
OS - 윈도우xp sp3
그래픽 - 내장그래픽 HD3200, 지포스 8600GT, 라데온 HD4670 (각각 윈도우 새로 깔아가며 테스트)
저것들 확실히 가속은 되는 그래픽카드냐고 물어본다면
저들중 가장 낮은 성능의 내장그래픽 HD3200 조차도 H264그래픽화일을 1080P까지 지원한다.
AVC1하고 H264하고 표기만 다르고 내용은 거의 똑같다고 말하면 이거 쓰느라 손가락 피곤해진다.
흠... 꿀리는거 전혀 없지?
하여간 대충 간편하게 코덱설정안하고 DXVA지원하고 하는 팟플레이어로 재생했을때
본 아이덴티티와 본 슈프리머시 두편은 DXVA가 확실하게 지원됐다.
증거샷
오버레이 화면이라 재생되는 영화 장면을 볼수는 없지만 (저작권도 피해간다 나이스)
DXVA 표시 나타나고 CPU점유율 4퍼센트 먹는다.
근데 저거보다 해상도가 떨어지기까지 하는 본 얼티메이텀은 이렇게 나온다.
DXVA 대신 YUY2 로 나오고 CPU점유율은 50퍼센트에서 왔다갔다 한다.
아 화일이름은 테스트하느라 잠깐 바꿨다. 아래 진행막대 위에 보면 MKV로 나오는데 알게뭐야.
이지길 이 현상은 뭘 어떻게 해도 바뀌질 않았다.
스펙상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말이지.
이러면 ...
인터넷 검색 들어간다.
바로 찾았다.
할랑할랑 님의 블로그 글
본문을 살짝 빌려오면 이렇다.
※ 어떤 파일은 DxVA가 되고, 어떤 파일은 적용이 안된다? :: MKV x264 파일의 avc profile level 설정에 따른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애플 홈페이지의 MOV는 정식 규격을 지키므로, DxVA 가속도 제대로 적용이 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mkv의 경우 동영상을 인코딩한 사람이 avc level 4.1 프로필이 아니라 avc 5.0, 5.1 프로필로 인코딩한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H.264 가속 지원이 되는 외부 코덱(사이버링크 코덱 등)을 이용해도, DxVA 가속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불법 x264 MKV 영상은 DxVA가 잘 안된다"는 말이 많이 떠도는 것이었죠. 단, 다음 팟플레이어의 경우 지포스 8500, 8600, 혹은 9000대 이상 버전을 사용할때 팟플레이어 자체 내장 코덱을 이용한다면 avc profile에 상관없이 가속이 된다고 하네요. 혹은, mkv 파일의 avc profile 부분을 직접 hex editor로 편집하여 profile을 4.1 로 강제 설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이 방법은 직접 헥스 에디트를 해야하는 방법이라 위험 부담이 있습니다. 혹은 그걸 간단하게 대신 처리해주는 프로그램도 나와있긴 한데, 역시나 동영상이 재생이 안될 위험 부담이 있다고 하네요. 일단 링크 글 내용의 방법을 적용해보기 전에, 먼저 팟플레이어와 MPC-HC를 통해서 가속이 되는지 시험해보세요.
아하 그렇구나 AVC프로필을 체크해서 5.대면 4.1로 바꾸면 되겠구나.
체크해봤다.
본 아이덴티티와 본 슈프리머시 두편은 프로필 레벨4.1 맞고
본 얼티메이텀은 HIGH@5.1로 나왔다.
프로필 바꾸는거 해봤다.
절대 안된다 하지마 XX 열이 뻗쳐서 XX
될리가 없다. 껍데기만 4면 뭐하나 알맹이가 5.1인데
심지어는 라데온 HD4670이랑 지포스 8600GT 설치하고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으로 설치해서 해봤는데 안된다.
(윈도우상에서 드라이버 클린 설치가 가능하게 해주신 노턴 고스트님께 잠시 감사드린다.)
아 8600에서 잠깐 DXVA가 작동이 된적이 있다.
열이 뻗쳐서 다른화일들 이리저리 실행하다가 보니 어느순간 DXVA 작동됐다.
CPU 점유율 15퍼센트 울랄라 ~
해서 가지고 있는 화일중에 클릭질했던걸 일일이 본 얼티메이텀이랑 번갈아 재생해봤는데
무려
소녀시대-힘내!.HDTV.MPEG2.AC3.1080i-8282TV.tp.0000.ts
화일이었다.
결론은 8600도 그냥은 안되고
8600GT를 사용하면서 "TP 화일을 HDTVtoMPEG2 프로그램으로 잘라내서 만든 TS화일"을
재생하자마자 원하는 화일을 재생해야 DXVA가 작동된다.
하겠냐? 그따위 번거로운 녀석.
이걸로 하루를 그냥 소비하고
"내가 좋아하는 색감좋고 성능좋은 ATI 4670 그래픽카드는 메모리도 작고 성능도 후진 지포스 8600 따위가
소 뒷걸음질 하다가 쥐잡는 식으로 작동하는 기능도 안되는건가. 젝일슨 "
하며 자포자기 하고 있는데
다음날 되니까 짯응나서 안되겠더라.
이게 돈이 얼만데 응? 이따위거 때문에 응?
국내에선 애들 노는 물이 너무 작아. 물장구나 치다 마는 애들따위 흥이다 <- 이런 생각을 하면서
거대한 물 구글에서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역시 사람은 큰 물에서 놀아야돼.
============================================================================================================================================================================
=============================================================================================================================
============================================================================================================================
결론? 찾았다!!!!
오예 ~ 땅덩어리 큰 동네에서 3억명쯤 되는 사람들 중 한명이 이런 글을 올렸다.
ATI HD Hardware Accelerated DXVA for H.264 AVC L5.0 / L5.1 - Zach Saw's Blog
땡큐 작흐(글쓴이), 너의 실험정신은 칭찬받아 마땅하구나. 무진장 땡큐하구나.
정보를 얻었으면 바로 실행에 들어가야지.
아 여기서 영어가 안되는 분을 위해서 중요 부분과 해석을 남깁니다.
Luckily for us ATI owners, there is a solution. With PowerDVD9 and Catalyst 9.5, I finally found a combination that would get 1920x1080 HD videos with ref-frames > 4 to play without taxing my CPU. In fact, I was pleasantly surprised when I reran the Quantum of Solace test video -- my CPU remained at 2% utilization!
다행스럽게도 우리 ATI유저에게 광명이 있었으니 그이름은 PowerDVD9 하고 Catalyst 9.5라 한다.
다행스럽게도 우리 ATI유저에게 광명이 있었으니 그이름은 PowerDVD9 하고 Catalyst 9.5라 한다.
난 겁나 많은 테스트를 하고 나서 이 조합이 가속을 지원하고 CPU를 2퍼센트만 쓰는걸 확인했다.
I recommend the following setup for ATI users:
- PowerDVD 9 ULTRA build 1530 ==> 이건 꼭 이버전을 깔아줘야 됩니다.
- ATI Catalyst 9.5 (실행해본바로는 9.7버전에서도 이상없이 작동했습니다.)
- AC3Filter (이걸 깔아줘야 POWERDVD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
- Haali Media Splitter (이걸 깔아줘야 MKV형식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 version 1.9.42.1 (or later)
*** Note1:
Rename .MKV to .MP4 to get PowerDVD to playback MKV files.
화일이름은 POWERDVD가 인식할 수 있도록 MP4로 바꿔주셈.
*** Note2:
Important - No other filters (e.g. FFDShow / CoreAVC / Codec Packs) should be installed in your system!
FFDSHOW나 COREAVC나 코덱팩에 들어있는 필터는 쓰면 안됩니다.
Try it out yourself (you could download the trial version of PowerDVD 9).
*** Update 2:
I've found that PowerDVD has a problem with H264 encoded files that have been tagged with the wrong IDC. For example, if the file actually contains a high profile L5.1 bitstream but its IDC tag is marked incorrectly (e.g. L4.1), you will get stuttering problems. If that happens, you'll have to change the file's IDC tag back to L5.1 using IDC Multi Changer.
I've found that PowerDVD has a problem with H264 encoded files that have been tagged with the wrong IDC. For example, if the file actually contains a high profile L5.1 bitstream but its IDC tag is marked incorrectly (e.g. L4.1), you will get stuttering problems. If that happens, you'll have to change the file's IDC tag back to L5.1 using IDC Multi Changer.
추가사항 - 레벨 5.1을 4.1로 변경한경우에는 작동 안되는것도 있으니 바꾸지 마셈.
다시 5.1로 바꾸는 IDC Multi Changer. 를 사용해서 원래대로 바꾸셈.
============================================================================================================================================================================
=============================================================================================================================
============================================================================================================================
ATI최신 드라이버, AC3FILTER, Haali필터, 제일중요한 PowerDVD9 1530버전을 깔고나서
PowerDVD에서 아까 그 화일을 mp4로 이름을 바꿔서 재생하면
보이나요? CPU사용률 2퍼센트?
캡쳐뜨기 전까지는 1퍼센트로 나왔는데 ㅋㅋㅋ
결국은 DXVA지원이 안된건 하드웨어가 ATI라
그런게 아니라 코덱의 문제였던 겁니다 .
문제는 여러가지 방법을 번갈아가며 테스트하느라 또 하루가 지나갔습니다만...
(벌써 3일째 윈도우 고스트질에 프로그램 구해 깔고 재생하고 밀고 다시깔고 재생하고 밀고 ...)
PowerDVD9 의 저 버전 이외의 버전에서는 하드웨어 가속이 되지 않았고 디럭스버전은 안되고
울트라 버전만 가속이 되는데 울트라 버전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코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놔서 팟플이나 KMP에서 가속을 이어받아 할 수가 없네요. 익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라 조금 불편합니다.
또 PowerDVD는 SMI 자막을 지원하지 않아서 자막을 보려면 SMIPLAY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앞뒤로 왔다갔다 하면 자막도 따로 이동해줘야 합니다. 눈물나더군요.ㅠㅠ
DirectVobSub2.39를 이용해서 SUB.IDX 자막을 지원하는걸 확인하긴 했는데 SRT자막은 안되는군요.
변환하기는 힘들지만 다른 자막형식을 변환하는 방법을 찾아보던가 해야겠습니다.
+++> 나중에 해보니 그냥 화일명 smi를 sub로 이름만 바꿔도 directvobsub에서 출력은 해주지만
점유율이 40퍼센트가 됩니다.필터를 사용했다고 하드웨어 가속이 빠지는군요. 자막은 포기해야 되는건가 ㄷㄷㄷ
그리고 작흐의 사이트에 소개되어 있는 예제화일 This clip (the 'Bird Scene' from Planet Earth)는
CPU사용율은 1퍼센트 대에서 재생됐지만 8600GT에서 화면이 완전히 뭉개져버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4670에서는 정도는 좀 덜하지만 확실한 뭉개짐이 있고요. 기본적으로 각 그래픽카드의 DXVA재생력의
차이로 가속이 지원됐을때 화면이 깨지는 화일이 분명히 있습니다. 하드웨어 문제고 PowerDVD에서는
이를 보정할 다른 렌더러를 사용하거나 필터를 바꾸거나 하는 지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건 어쩔 방법이 없습니다.
이걸 누군가 보고서 POWERDVD9 ULTRA 1530버전의 코덱만 추출해서 다른 자막재생되는 프로그램에서 작동되게만
만들어주면 간편하고 정말 좋겠는데 상용프로그램 해킹해달라고 하는건 안되겠죠.ㅠㅠ
하드웨어 가속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을라나요? ㅋ
그럼이만~ 안녕~
사족. 사업시작전에 발목을 잡고 있는 몇 가지 문제중에 시간이 해결해줄 문제들이 이런 정보 파고들기를 해볼 수 있게
해주었지만 사업이 시작되고 나면 언제 이런 테스트를 또 해볼 수 있을까.